* 경제분야의 비전공자가 경제공부를 위해서 쓴 글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국제유가가 어떻게 마이너스를 기록했을까?"라는 주제로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불과 며칠 전이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 20일 미국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배럴당 -37.63달러에 마감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고 넘어가야 할 내용들이 있습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가지고 있는 위치, 5월 인도분(선물거래)이라는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와 더불어 어떻게 마이너스 물건을 판매하는 것에 있어 마이너스. 즉,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오히려 금액을 지불하고 물건을 판매하는 일이 벌어졌는지를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유종 '브렌트유(Brent Oil), 두바이유(Dubai Oil), 서부 텍사스유(WTI) 중 브렌트유와 텍사스유는 선물거래로 거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선물 거래라는 것은 어떤 것을 이야기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적 정의를 먼저 살펴보자면 "선물은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서 품질, 수량,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는 상품 또는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정한 거래를 말한다"(출처 - 위키백과)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미래의 가치를 사고파는 거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만기일이 지나면 약속한 실물의 상품 또는 금융자산을 인수를 해야 합니다.
이번 국제유가가 마이너스가 된 사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정도의 개념만 알고 있어도 충분히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선물거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번에 따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세계 3대 유종으로 꼽히고 있는 유종입니다. 게다가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이들 중에서도 국제 유가를 결정하는 가격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이는 세계 최대 선물거래소인 뉴욕 상품거래소에 상장된 중심 유종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WTI는 국제 원유시장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황의 함량이 낮고 원유의 비중을 나타내는 API도가 높아 탈황 처리를 할 때 비용이 덜 든다는 이유가 있습니다. 또한 원유를 정제할 때 가격이 비싼 나프타나 휘발유와 같은 고급 유류들이 많이 생산되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렇듯 세계 원유시장에서 가장 비싸고 국제 유가를 결정하는 가격지표로 활용되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유가를 기록했다는 것은 원유시장에서 매우 큰 충격적인 일입니다. WTI의 가격이 하락하니, 다른 유가들의 가격 또한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위의 차트를 보시면 현지시간 4월 20일 -37.63 달러를 기록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마이너스 유가가 기록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서부 텍사스 원유(WTI)는 선물거래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선물거래는 만기가 되면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투자상품이기에 만기일이 되면 선물거래 계약을 정리하던가 현물로 받아야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트레이더들은 이번 경제위기가 일어나기 전 같은 경우에는 정유 업체에 계약을 넘긴다거나, 항공사에 넘기는 방식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하지만 2020년 경제위기로 많은 기업들에서 원유 수요가 줄게 되었고 공급 과잉 현상이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다시 말해 트레이더들이 가지고 있는 선물계약을 기업에 다시 넘길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이 또한 빈번히 발생되는 일이라 원유 저장고에 보관료를 지불하고 잠시 보관하는 방법도 있었습니다. 이것 또한 이번 경제위기로 인하여 원유 저장고에 빈자리가 없어 저장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그렇기에 트레이더들은 '롤 오버'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간단히 롤 오버를 설명하자면, 5월 선물 분을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다음 달 선물로 갈아타는 것을 말합니다. 인수를 하더라도 원유 저장고에도 저장을 할 수 없기에 인수 시점을 늦추자는 판단을 한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격이 심하게 왜곡되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공급은 있는데 수요가 없으면 가격이 낮아지는 것은 당연한 자본시장의 원리입니다. 하지만 그 가격이 마이너스가 되었다는 것은 흔하지 않은 일이기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또, 심각한 사태이기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양적완화의 장단점, 그리고 한국의 양적완화 (0) | 2020.04.27 |
---|---|
ETF와 ETN은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 (+ ETN이란?) (0) | 2020.04.25 |
달러와 금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까?(+ 금 투자 방법) (0) | 2020.04.19 |
ETF란 무엇인가?(+ 장점, 단점) (0) | 2020.04.16 |
금리와 채권의 관계(+ 기준금리, 채권 투자방법)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