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이야기 하는 공간

#0. 들어가기 전에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볼 때 알게 모르게 많이 접하게 되는 영화 기법 중 하나인 몽타쥬는 각각의 장면을 적정하게 이어 붙여서 스토리가 있는 하나의 내용으로 만드는 것이다.(1) 영화 <더 킹>에서는 극 중 태수가 양아치 고등학생에서 서울대 출신의 검사로 출세하는 과정을 몽타쥬 컷을 이용하여 빠르게 관객들에게 전개해 주었다. 이처럼 현대 영화에서도 몽타쥬 기법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감독은 원하는 의미와 시간상의 흐름을 빠르게 보여주거나 관객들에게 또 다른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할 때 몽타쥬 기법을 사용한다.

 

#1. 쿨레쇼프와 프도프킨의 몽타쥬

 

몽타쥬 이론을 처음 발명할 당시 영화 학교의 선생님이었던 쿨레쇼프는 학생들과 함께 쿨레쇼프 실험을 진행했다. 그로 인해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컷이 편집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각 컷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편집의 힘을 발견한 쿨레쇼프는 고정된 화면비, 영사된 단편들의 길이, 관객의 지각능력을 고려할 때 하나의 법칙을 세울 수 있다. , 영화는 사물과 배우의 단순한 명료한 동작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관객이 이야기를 잘 따라갈 수 있도록 쇼트와 쇼트가 부드럽게 연결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쿨레쇼프 효과를 찾아낸 후 쿨레쇼프는 새로운 실험을 하였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은 가상의 공간을 편집을 통하여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2) 이로 인해 쿨레쇼프 효과는 감정뿐만 아니라 공간의 의미에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낼 수 있었다.

쿨레쇼프가 주장한 몽타쥬의 개념에서 프도프킨은 쇼트가 언제, 어떻게, 얼마 동안의 시간을 가지고 등장하는지에 대한 것을 추가한 개념을 추가하였다. 이것이 연결 몽타쥬라고 명명하였는데 쿨레쇼프의 몽타쥬에서 연속성을 강화하고 연결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프도프킨은 합리적 순서야 말로 편집에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이를 통하여 쇼트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드러내야 한다고 말하였다.(3) 다시 말해 쇼트의 순서에 따라서 감독이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2. 마치며

 

몽타쥬는 부분들을 결합해서 특정한 의미나 효과를 나타내는 영상 편집방법의 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를 재편집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 해 낼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쿨레쇼프는 몽타쥬의 발견과 더불어 영상을 제작할 때 촬영이 전부가 아니라 편집도 상당한 부분에서 영향력을 띄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프도프킨은 쿨레쇼프가 주장한 몽타쥬 이론에 한 발 더 나아가 연속성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로인해 쇼트가 등장하는 시간에 따라서 관객이 느끼는 감정이 어떤 식으로 달라지는지에 대한 발견이 있었다.

몽타쥬의 발견은 영화를 보는 관객으로 하여금 감독에 대한 의도, 영화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몽타쥬 기법을 통하여 관객은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감독 또한 몽타쥬 기법을 활용하여 영화에서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관객들에게 자신이 의도한바 혹은 영화에 대한 흐름을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영화 촬영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좋은 영향을 끼쳤다고 말할 수 있다. 영화의 흐름상에는 필요하지만 굳이 많은 시간을 들여서 보여주지 않아도 되는 장면을 몽타쥬 기법을 활용하여 짧게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A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촬영할 때 굳이 A라는 장소에서 촬영하지 않고 B라는 장소에서 촬영을 하여도 편집을 통하여 A라는 장소에서 촬영한 것처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클레쇼프의 몽타쥬에 대한 발견은 현대 영상에서 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할 수 있다. 많은 영상물에서 쓰이고 있으며 관객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다. 아마 몽타쥬 기법의 발견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편집의 중요도에 대해서 깊이 있는 고민을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1) 메디컬코리아 편집부, 무용이론사전, 메디컬코리아
(2) Lev Kuleshov, Kuleshov on Flim, ed and trans, Ronald Levaco (Berkeley: U of california P, 1974), p.41
(3) V.I. Pudovkin, Flim technique and Flim Acting, Trans, and ed, Ivor Montagu Momorialed(1958: New York: Grove, 1970), P.98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