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분야의 비전공자가 공부를 위해서 쓴 글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꽃다발, 생화 오래 보관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념일이나 졸업식 등과 같은 행사가 있을 때 많이들 선물 받고 선물하는 것 중에 하나가 꽃다발과 같은 생화의 꽃입니다.
꽃을 선물 받을 때에는 기분도 좋고 선물을 준 상대방에게 고마운 마음도 듭니다. 그런데 이 꽃을 집에 가져와서 오랫동안 유지되었으면 하는 마음인데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할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것도 안 해둔 상태로 방치해두면 너무 아까운 꽃들 어떻게 하면 조금이나마 오랫동안 볼 수 있을지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화를 오래 보관하는 방법은 어러 가지 방법들이 있습니다. 아래의 방법들을 사용하시게 되면 조금이나마 꽃을 오래 볼 수 있게 되니 생화를 선물 받거나 구매하기 될 시 한 번 따라 해 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1. 물속에 잠긴 잎 제거
오랫동안 꽃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물속에 잠겨있는 부분의 가시나 잎을 모두 제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꽃으로 흡수된 물이 가시나 잎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잎이나 가시가 물을 많이 머금게 되면 세균이 증식하여 꽃이 빨리 시드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여담으로 꽃과 관련 있는 자격증 시험을 볼 때 이 사항을 지키지 않을 시 감점을 받는다고도 합니다. 그렇다니 기본 중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아랫부분 비스듬히 자르기
꽃의 아랫부분을 비스듬히(뾰족하게) 자른 후 물속으로 넣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시간이 흐르면 끝부분에 오염물이 쌓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더 잘라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끝부분을 비스듬히 자르는 것은 꽃이 물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함으로써 물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머금을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이유가 있습니다.
3. 물을 자주 갈아주기
꽃을 오래 보기 위해서 해야 될 일 중에 가장 귀찮은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신선한 물로 매일 교체만 해주어도 꽃을 상대적으로 오래 볼 수 있다고 하니 물을 갈아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번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물을 갈아주면서 줄기 아랫부분을 함께 잘라주시면 더욱더 오래 보실 수 있다고 합니다.
꽃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물에 담가 두는 것뿐만 아니라 첨가물을 넣으면 조금 더 꽃을 오래 보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첨가물이 들어가는지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설탕물
꽃과 같은 식물들이 호흡을 할 때 소비되는 것이 호흡 기질이라는 것입니다. 설탕과 같은 당성분이 호흡 기질이라고 합니다. 노화하는 것을 늦춰주고 꽃이 마르는 것을 방지해주며 또한 삼투압도 높여주어 꽃이 수분을 흡수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설탕물을 사용할 시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당성분은 세균의 증식도 활발하게 하니 꽃병이나 유리병 살균 세척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박카스
꽃을 보관하는 것에 있어 약산성을 띄는 액체에 담가 놓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 Ph3~3.5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약산성을 띄면 미생물을 감소시키며 또한 꽃의 수분 흡수를 촉진시킨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박카스에 들어있는 구연산을 물에 섞을 시 물이 산성화 되면서 꽃을 오래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3. 김 빠진 사이다
박카스와 비슷한 원리로 사이다에 들어있는 탄산 성분은 산성 성질입니다. 그렇기에 세균 번식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설탕물과 같이 당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꽃이 호흡할 때 소비되는 호흡기 질의 공급원으로써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되어 노화도 지연시켜주게 됩니다.
지금까지 소개해드린 내용 외에도 드라이플라워를 만들거나 꽃집에서 사용하는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 많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많은 방법이 있으니 천천히 찾아보시고 오랫동안 꽃을 보관하실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꽃을 오래 보관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함께 생활정보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선물 받은 꽃이나 생화를 아깝게 버리지만은 말고 짧은 시간을 투자해서 집 한편에 전시해두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뱅크로 신청하는 방법 (0) | 2023.12.15 |
---|---|
[생활정보] 약 보관 방법 및 약 버리는 방법 (0) | 2020.05.05 |